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고 싶은데, 소득 기준 때문에 망설여진 적 있나요?
특히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는 소득 기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정확히 알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소득 기준을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.
청년도약계좌 기본 가입 조건은?
-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
- 현재 근로자 또는 사업자 등록자
-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(종합소득금액 6,300만 원 이하)
- 금융기관 연체 및 신용불량자 아님
위 조건만 충족하면 청년도약계좌 자체는 가입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정부지원금 수급 여부는 별도의 소득 기준을 따릅니다.
정부 지원금을 받기 위한 소득 기준
- 연봉 6,000만 원 이하: 정부지원금 수급 가능
- 연봉 6,000만 원 초과 7,500만 원 이하: 가입은 가능하지만 정부지원금 없음
즉, 연봉 6,000만 원이 청년도약계좌 정부 지원금 수급 여부를 가르는 기준선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.
소득 기준 확인 방법은 어떻게 진행될까?
- 직전년도 원천징수영수증 제출
- 종합소득금액증명원 제출
- 국세청 소득 자료를 기준으로 심사
직전 연도 소득 자료를 바탕으로 심사하기 때문에, 현재 연봉이 올랐더라도 지난해 소득이 기준 이하라면 올해는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단, 매년 재심사 과정을 거쳐 지원금 수급 여부가 갱신됩니다.
소득이 초과되었을 때 가입하면 어떤 점이 다를까?
- 가입은 자유롭게 가능
- 정부 매칭 지원금(월 최대 7만 원) 제외
- 본인 납입금 + 이자만 적립
- 만기 시 세제 혜택(비과세 일부) 동일 적용
정부 지원금이 없는 대신, 고이율 적금 상품처럼 활용할 수 있어 장기 저축을 계획 중이라면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.
비슷한 다른 글도 함께 살펴보세요
청년도약계좌, 연봉 6,000만 원 넘으면 정부 지원금 받을 수 있을까?
정직한 숫자 위에
차곡차곡 쌓아가는
나의
미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