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과 신혼부부에게는 내 집 마련의 기회로 '특별공급' 제도가 존재합니다.
일반공급과 달리 소득·자산 기준을 충족하면 추첨이나 가점과 무관하게 우선적으로 당첨될 수 있죠.
하지만 조건이 복잡해 실수하기 쉬우므로 반드시 정확히 알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청년 특별공급 신청 자격
- 만 19세 이상 ~ 만 39세 이하 무주택 세대 구성원
- 독립 생계 유지 요건 충족자
- 청약통장 1년 이상, 지역·예치금 충족
- 세대소득 기준 중위소득 160% 이하 (3인 기준 약 728만 원 이하)
청년특공은 생애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청년층에게 제공되는 기회로, 일반공급보다 진입 장벽이 낮은 편입니다.
신혼부부 특별공급 신청 조건
- 혼인기간 7년 이내 또는 예비신혼부부
- 무주택 세대 구성원
- 청약통장 가입 6개월 이상, 납입횟수 기준 충족
- 소득 기준: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~130% 이하
- 혼인증명서 또는 예식장 계약서 등 제출
예비신혼부부도 증빙이 가능하다면 신청이 가능하며, 일부 유형은 소득 우선 배점제로 선정됩니다.
무주택 및 소득·자산 기준 확인하기
- 전 세대원 무주택자일 것
- 총자산 기준은 약 3억 3,100만 원 이하
- 차량 가액 3,557만 원 이하
- 소득 증빙은 건강보험료·근로소득원천징수서 등 필요
조건은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으로 확인하며, 세대 구성원 전체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사전 확인이 매우 중요합니다.
청약 시 유의할 사항 정리
- 공고문 기준이 매번 다르므로 매 단지 확인 필수
- 신청일 기준 자산·무주택 조건 충족 여부 중요
- 예비신혼은 서류 누락 시 탈락 가능
- 일반공급과 특별공급 중복 신청은 불가
공고문 하나하나 꼼꼼히 읽고 신청요건을 맞추는 것이 당첨 확률을 높이는 핵심입니다.
비슷한 다른 글도 함께 살펴보세요
민영주택 청약 시 무주택세대 기준과 자산 기준 헷갈릴 때 정리법
청약통장 제대로 쓰는 법과 실수하지 않기 위한 핵심 유의사항
민영주택 청약과 공공분양의 차이점 총정리: 조건부터 전략까지
기다린 만큼
준비한 만큼
내 이름이
불리게 된다